본문 바로가기
Korean traditional culture(전통문화)/Korean traditional music(전통음악)

가야금병창 소개 영문 Gayageum Byeongchang

by highquality 2021. 4. 10.
728x90
반응형

 

가야금병창 소개 영문 Gayageum Byeongchang

가야금병창 소개 영문 Gayageum Byeongchang

 

 

 

 

 

 

가야금 병창은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동시에 창(唱)을 부르는 연주형태로써, 노래와 반주를 한사람이 겸한 것으로 창이 주(主)가 되고 가야금이 부(附)가된다.

가야금 병창은 판소리를 근간으로 한 예술형태로써, 19세기 후반에 남도에서 가야금 산조(伽倻琴散調)가 발생할 무렵 함께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야금 병창은 처음은 판소리를 부르는 창자가 소리의 한 대목을 가야금 반주에 맞춰 부르기 시작한 것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다른 곡목에도 파급되어 같은 형식의 병창곡으로 자리를 잡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가야금 병창의 발생에 관한 기록은 다음과 같은 각기 다른 이설(異說)이 전해지고 있다.

첫째는 정노식(鄭魯湜)의 『조선창극사(朝鮮唱劇史)』에 전해지는 내용으로 '김제철(金濟哲) 명창이 가야금병창제라는 "석화제(판소리에 쓰이는 제(制) 이름)" 판소리를 불렀다.'는 기록이 전해지며, 둘째는 박황(朴潢)의 『판소리소사(小史)』에 '현행과 같은 형식의 병창은 김창조(金昌祖)가 그의 전용 고수가 없어지자 소리를 가야금 반주에 얹어 불러본 것이 최초이다.'라는 기록이 그것이다.

이러한 기록에 따르면 가야금 병창의 형태는 19세기중엽 또는 19세기 말에 연주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가야금 병창에 사용되는 창법을 흔히 "석화제"라고 하는데, 이러한 창법은 명랑하고 거들거리는 성음이 많이 들어가는 특징이 있다. 석화제라는 용어 역시 앞에서 언급한 『조선창극사』에서 처음 나타난다.

현행 판소리 중에는 ‘춘향가’의 천자뒤풀이, ‘수궁가’의 토끼화상 그리는 대목, 날짐승들의 상좌 다툼대목 등이 대표적인 석화제로 불리고 있다.

가야금 병창은 부르는 노래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단가나 판소리중의 한 대목 또는 민요 등을 가야금의 선율에 맞게 기악화 하거나, 가야금의 선율을 노래의 선율에 제주(齊奏)한 것이다.

그러나 가야금은 노래를 따르는 것이 원칙이고, 없는 공간을 기악선율로 메우거나 가끔 간주를 넣어 흥을 돋우는 것이 대부분이다.

가야금 병창의 중요 레퍼토리는 단가 중에는 <호남가(湖南歌)>, <녹음방초(綠陰芳草)>, <청석령(靑石嶺) 지나
갈제>, <죽장망혜(竹杖芒鞋)> 등이고, 판소리에서는 <춘향가> 중 ‘사랑가’, <흥보가> 중 ‘제비 노정기(路程記)’, <수궁가> 중 ‘고고천변(皐皐天邊)’, ‘가자 어서 가’ 등이다.

가야금 병창은 1968년 산조와 함께 중요무형문화재 제 23호로 지정되었으며, 예능 보유자로는 박귀희(朴貴嬉), 김난초(金蘭草), 함금덕(咸金德)을 거쳐 정재국(鄭在國)이 지정되었다.

 

 

 

 

‘Gayageum byeongchang is a performing genre in which a performer sings and plays an instrument at the same time. The song is the main pillar, and the instrument supports the performance as an accompaniment.

The performance of gayageum byeongchang dates back to the late 19th century when gayageum sanjo began in southern parts of the country.

This genre seems to have started when a singer of pansori sang a part of pansori to a gayageum accompaniment. Parts of other songs began to be performed to gayageum accompaniments, thereby becoming gayageum byeongchang.

There are different assertions on the origin of gayageum byeongchang in different records: First, Joseon Changgeuksa (Vocal Music History of Joseon), by Jeong Nosik, stated, "Kim Jecheol, a master singer, sang a seokhwaje pansori piece called gayageum byeongchang"; Second, according to Pansori Sosa (Brief History of Pansori), by Bak Hwang, "Kim Changgo sang the current style of byeongchang for the first time. He did this when his private drummer was not available." Looking at these records, gayageum byeongchang seems to have been performed from around the mid- or late 19th century.

The way of singing used in gayageum byeongchang is called "seokhwaje", that is associated with cheerful and elated vocal sounds. Seokhwaje was first recorded in Joseon Changgeuksa (Vocal Music History of Joseon). Those stories that are sung in seokhwaje are cheonjadwipuri of Chunghyangga, a rabbit portrait drawing part, and wild animals arguing over the top seat of Sugungga.

There are not fixed songs for gayageum byeongchang. Danga (short song), parts of pansori, or minyo (folk song) can be performed by adopting suitable melodies for gayageum or harmonizing the melodies of gayageum with those of the songs. In the performance of gayageum byeongchang, gayageum just follows the song in principle and sometimes fills the gaps of song lines with instrumental melodies and exciting interludes.

Important danga repertoires for gayageum byeongchang include Honamga (Honam Song), Nogeumbangcho (Green Summer Scenery), Cheongseongnyeong Jinagalje (Passing Over a Hill), and Jukjangmanghye (Bamboo Stick and Straw Sandal). Among pansori, there are Sarangga from Chunhyangjeon, Jebi Nojeonggi (Swallow Migration Story), and Gogocheonbyeon and Gaja Eoseo Ga (Lets Go) from Sugungga.

Gayageum byeongchang was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23 along with sanjo in 1968. Bak Gwihui, Kim Nancho, Ham Geumdeok, and Jeong Jaeguk are the designated masters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23.

 

출처:Korea Music Portal

Copyright (c) 2007 Traditional Korean Music Portal

 

 

 

 

 

www.youtube.com/watch?v=1YYi081s5J0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