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규상장 종목을 대하는 자세/ 전략

by highquality 2021. 3. 22.
728x90
반응형

신규 상장 종목을 다룰때는

전략과 자세가 가장중요합니다.

최근 개인 투자자들이 신규 상장 종목을 대하는 태도는 상당히 문제가 많다고 생각됩니다.

SK바이오팜, 카카오게임즈, 빅히트, 교촌에프앤비 등 이러한 신규 상장 종목들은 새로운 개미들을 주식 시장에 입성시키는 역할도 했죠.

중요한 것은 이름만 알고, 기업만 알고, 감으로 하는 사람들 때문에 최근의 신규 상장 종목은 버블효과가 상당한 느낌입니다.

 

그렇게 되면 알고 사는 사람도, 모르고 사는 사람도 똑같이 과열된 현상에 옳고 그름을 가리지 못하게 되죠

빨간색이면 사고, 파란색이면 팔고
약간 오르면 사고, 약간 내리면 팔고

또 여기서 운이 좋게 수익을 먹은 사람들은 그 습관을 반복하게 됩니다

여기서 물린 사람들은 주식에 대한 공포를 겪어 현명한 투자자로 거듭나기 힘들어지구요!


 

 

▶ 그럼 신규 상장 종목은 뭘 알고 사야할까요?
◆ 첫번째는 "업황" 입니다.
상장 하는 종목의 업종 상황이 긍정적인지부터 먼저 살펴봐야 합니다.
아무리 좋은 기업이라도 업황 자체가 내려앉고 있으면 당연히 개별종목도 상승하기 쉽지 않은 것은 생각할 수 있죠.
특히 대한민국 증시 특성상 업황속에서 혼자 잘 나가는 기업이더라도 벤더나 하청업체인 경우가 많아서 어느 순간 업황에 따라 고꾸라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 두 번째는 "성장성" 입니다.
주가는 보통 기업의 미래 가치를 선반영합니다. 
그렇기때문에 해당 기업이 지속적인 상승 가능성을 보여줄 것인가, 
또 수요가 지속적인지 파악 할 필요가 있습니다.

 

◆ 세 번째는 "사업내용 및 계획" 입니다.
내부적으로 진행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당연히 일반인들은 알 수 없겠지만, 
최소한의 공시나 뉴스에 나온 계획 정도는 확인하고 매수를 할 필요가 있겠죠
위에 내용들이 없다면 기본적으로 어떤 회사인지 홈페이지라도 들어가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신규 공모주 뿐만 아니라 현재 상장돼있는 종목들 매매하실때,
실제로 무슨 일을 하는 회사인지도 모르고 투자하시는분들 꽤나 봤습니다..(심각)

 

◆ 네 번째는 "재무" 입니다.
쉽게 예를 들어 
A - 사업이 5억 규모라 내 자산 3억과 2억의 돈을 빌려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B - 사업이 35억 규모인데 내 자산 3억과 32억의 돈을 빌려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이때 어떤 규모의 기업이 훨씬 위험도가 있겠습니까?
이 부분은 당연히 기본 사항이고 그 외에도 손익계산, 현금흐름 등 재무제표를 살피는 방법은 정말 다양합니다.

이 모든 부분들을 참고해서 신규상장주를 다루는 것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